맨위로가기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1637년 피에르 드 페르마가 제안한 정리로, 3 이상의 정수 n에 대해 xⁿ + yⁿ = zⁿ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x, y, z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페르마는 이 정리에 대한 증명을 남기지 않았지만, 1995년 앤드루 와일스가 모듈러성 정리를 이용하여 증명했다. 이 정리는 수학적 배경으로 피타고라스 수, 디오판토스 방정식, 타원 곡선, 모듈러성 정리 등과 관련이 있으며, 와일스의 증명 이전에는 소피 제르맹, 에른스트 쿠머 등의 수학자들이 특정 경우에 대한 증명을 제시했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은 대중적인 관심을 받았으며, 와일스는 이 업적으로 여러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타고라스 정리 - 유클리드 거리
    유클리드 거리는 두 점을 잇는 선분의 길이로 정의되며, 직교 좌표계에서 각 좌표 성분 차이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으로 계산되고, 유클리드 노름을 사용하여 벡터의 길이로 표현될 수 있으며, 대칭성, 양수성, 삼각 부등식을 만족하는 거리 공간의 기본적인 속성을 가진다.
  • 피타고라스 정리 - 피타고라스 삼조
    피타고라스 삼조는 a² + b² = c²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세 쌍 (a, b, c)이며, 특히 서로소인 세 정수로 이루어진 경우를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라고 한다.
  • 수론 정리 - 라그랑주 네 제곱수 정리
    라그랑주 네 제곱수 정리는 모든 양의 정수를 네 개의 정수 제곱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정리이다.
  • 수론 정리 -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는 여러 개의 연립 합동식의 해 존재성과 유일성에 대한 정리이며, 정수론, 대수학, 암호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디오판토스의 아리스메티카
1670년판 디오판토스의 아리스메티카에는 페르마의 주석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의 아들에 의해 사후에 출판되었다.
분야정수론
명제모든 정수 에 대해, 방정식 은 양의 정수 해를 갖지 않는다.
최초 제안자피에르 드 페르마
최초 제안 날짜1637년
최초 증명자앤드루 와일스
최초 증명 날짜1994년 발표, 1995년 출판
함의유효 abc 추측
유효 수정된 스피로 추측
모듈러성 정리
일반화빌 추측
페르마-카탈란 추측
설명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를 양의 정수라고 하고, 이 2보다 큰 정수일 때, 방정식 을 만족하는 , , 는 존재하지 않는다.
추가 설명만약 일 경우 는 무수히 많은 해를 가진다. 일 경우 를 만족하는 자연수 의 조합은 무수히 많으며, 이를 피타고라스 수라고 한다.
라틴어 원문Qvæstio VIII (문제 8)
페르마의 주석Observatio domini Petri di Fermat (페르마 경의 관찰)
영어 명칭
영어 명칭Fermat’s last theorem

2. 역사

피에르 드 페르마가 1637년 디오판토스의 《산법》(Arithmetica) 주석을 남긴 후,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수많은 수학자들의 도전 과제가 되었다. 페르마는 n=4인 경우에 대한 증명을 남겼고, 이후 2세기 동안 n=3, 5, 7인 경우가 증명되었다. 19세기에는 소피 제르맹이 100 이하의 소수에 대해 증명하였고, 에른스트 쿠머정규 소수 전체에 대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1984년 게르하르트 프라이는 타원 곡선에 대한 모듈러성 정리(당시 다니야마-시무라 추론)가 참일 경우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역시 성립한다는 것을 보였다. 1986년 케네스 앨런 리벳이 프라이의 추론 가운데 일부를 증명하였고, 1995년 앤드루 와일스리처드 로런스 테일러의 도움을 받아 모듈러성 정리가 참이라는 것과 따라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역시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증명 과정에서, 특히 쿠머의 연구는 근대 정수론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20세기 후반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검증을 통해 4백만 이하의 모든 소수에 대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성립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2. 1. 페르마의 주석

피에르 드 페르마는 1621년 출간된 디오판토스의 《산법》(Arithmetica)을 읽다가 책 여백에 다음과 같은 주석을 달았다.[189]

Cubum autem in duos cubos, aut quadratoquadratum in duos quadratoquadratos, et generaliter nullam in infinitum ultra quadratum potestatem in duos eiusdem nominis fas est dividere cuius rei demonstrationem mirabilem sane detexi. Hanc marginis exiguitas non caperet.|세제곱수를 두 개의 세제곱수의 합으로 표현될 수 없고, 네제곱수 역시 다른 두 네제곱수의 합으로 표현될 수 없으며, 일반적으로 3 이상의 지수를 가진 정수는 이와 동일한 지수를 가진 다른 두 수의 합으로 표현될 수 없다. 나는 이것을 경이로운 방법으로 증명하였으나, 책의 여백이 충분하지 않아 옮기지는 않는다.la

페르마는 a^n + b^n = c^n 식에서 n이 3 이상인 경우에 대한 증명은 남기지 않았지만, n=4인 경우에 대해서는 자세한 증명을 남겼다.

2. 2. 특정 지수에 대한 증명

피에르 드 페르마a^n + b^n = c^n 식에서 n이 3 이상인 모든 정수에 대한 증명을 남기지는 않았지만, n=4인 경우에 대해서는 자세한 증명을 남겼다. 페르마는 무한강하법을 이용하여 직각 삼각형의 두 변을 이루는 정수로 된 네제곱 수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증명하였다.[200] 이 증명은 결국 모든 정수 n에 대하여 살필 필요 없이 소수의 경우만 증명하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페르마가 추론을 적은 1637년부터 2세기 동안 n이 3, 5, 7 인 경우가 증명되었고, 소피 제르맹은 100 이하의 소수에 대해 증명하였다. 소피 제르맹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모든 지수에 대해 적용하는 단초로써 몇 가지 특별한 접근법을 개발하였으나, 모든 정수 n 에 대하여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는 없었다. 그녀의 증명은 이후 에른스트 쿠머가 모든 정칙 소수에 대해 정리를 증명하는 기반을 제공했다.

쿠머의 연구를 기반으로, 다른 수학자들은 컴퓨터를 사용하여 4백만까지의 모든 소수 지수에 대해 증명을 확장할 수 있었다.[112]

2. 2. 1. 소피 제르맹의 공헌

19세기 초, 소피 제르맹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모든 지수에 대해 적용하는 단초로써 몇 가지 특별한 접근법을 개발하였다.[204] 우선, 제르맹은 소수 ''p''에 대하여 3의 배수가 아닌 임의의 정수 h를 사용하여 방정식 \theta=2hp+1 을 만족하는 보조적인 소수의 집합 θ를 정의하였다. 제르맹은 만약 모듈러 θ에 인접한 정수가 소수 ''p'' 제곱으로 나타낼 수 없다면 (이를 비접속 조건이라 한다), θ는 반드시 세 정수 ''xyz''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제르맹은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하여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할 경우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참이 된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100 이하의 소수에 대해 이를 검증하였다.[204][205] 그러나 모든 정수 n 에 대하여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는 없었다.[206] 1985년 레오나드 애들먼과 로저 히스브라운, 그리고 에디엥 포브리는 제르맹이 정의한 특정한 소수 p 전체에 대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참임을 증명하였다.[207]

2. 3. 쿠머의 아이디얼 이론

에른스트 쿠머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 과정에서 근대 정수론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쿠머는 소수정규 소수와 비정규 소수로 구분하고,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방정식 x^n+y^n=z^n에서 n이 정규 소수일 때 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였다.[208] 쿠머의 증명 방법은 훗날 아이디얼 이론으로 불리게 된 이론의 기초인 P진수의 발견에 거의 근접한 것이었다. 소수의 n차 단위근에 대해 를 확장한 쿠머 이론은 이차 형식에 대한 탁월한 연구였으며, 오늘날에도 아이디얼 유군을 다루는 유체론의 기반을 이루고 있다.[209]

쿠머가 창안한 이상수(Idealzahl) 이론(후에 리하르트 데데킨트가 이데알(Ideal) 이론으로 발전시킴)을 통해 많은 소수에 대해 유일한 소인수분해가 가능해졌고, n이 정칙소수(regular prime)이거나 정칙소수로 나누어 떨어지는 모든 경우에 대해 증명되었다.[178] 허수 레벨에서 유일한 소인수분해가 불가능한 비정칙소수(irregular prime)도 무한히 존재하지만, 쿠머는 100 이하의 비정칙소수(37, 59, 67)에 대해서는 각각 개별적으로 연구하여 해결했다.[180] 그 결과, 100까지의 모든 홀수 소수 n에 대해(100 이하의 홀수 소수를 약수로 가지는 모든 n에 대해서도)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성립한다는 것이 증명되었고, 이는 그때까지의 개별 연구에서 크게 발전한 것이었다.

1857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는 1816년1850년에 제정되었으나 수상자가 없었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자"를 위한 상금(금메달과 3000FRF)을 (최종적인 해결이 아님을 인지한 채) 쿠머에게 수여했다.[181] 1874년, 쿠머는 101부터 163까지의 지수에 대해 계산하여, 101, 103, 131, 149, 157의 5개가 비정칙소수임을 보였다.[182]

2. 4. 모델 추측

1920년대 루이스 모델은 페르마의 방정식에서 지수 n이 자명하지 않은 소수일 경우, n이 아무리 큰 수라도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성립할 것이라는 추측을 제시하였다.[210] 이 추측은 1983년 게르트 팔팅스에 의해 증명되어[211] 팔팅스 정리로 불리게 되었다.

2. 5. 컴퓨터를 이용한 검증

20세기 후반에 들어 컴퓨터를 이용해 쿠머의 접근법을 확장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1954년, 해리 밴디버는 SWAC 컴퓨터를 이용하여 2521까지의 소수 n에 대하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하였고,[212] 1978년에는 새뮤얼 왜그스태프가 125,000 이하의 소수에 대하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성립함을 증명하였다.[213] 1993년에는 4백만 이하의 모든 소수에 대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성립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214]

3. 수학적 배경

1621년 출간된 디오판토스의 《산법》(Arithmetica) 표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피타고라스 수의 관계식 a^2+b^2=c^2을 일반식 a^n+b^n=c^n으로 확장했을 때, 정수인 지수 n이 3 이상일 때 정수 해가 없다는 것을 뜻한다. 이 정리는 피타고라스 수와 디오판토스 방정식과 같은 수학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피타고라스 수와 디오판토스 방정식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3. 1. 피타고라스 수

피타고라스 수(Pythagorean triple)는 a^2 + b^2 = c^2을 만족하는 세 정수로 된 튜플 (a, b, c)이다. 이 등식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서 n=2인 경우에 해당한다.[190]

200px


간단한 예로는 (3, 4, 5)와 (5, 12, 13)이 있다. 피타고라스 수를 이루는 세 정수로 된 튜플은 무한히 많다.[191]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피타고라스 수의 관계식 a^2+b^2=c^2을 일반식 a^n+b^n=c^n으로 확장했을 때, 정수인 지수 n이 3 이상이면 정수 해가 없다는 것을 뜻한다.

3. 2. 디오판토스 방정식

디오판토스 방정식정수로 된 만을 허용하는 부정 다항 방정식이다. 디오판토스 문제는 미지수인 변수와 그 변수의 수보다 적은 방정식을 제시하고, 주어진 모든 방정식을 만족하는 정수 해들을 찾도록 한다.[193] 방정식의 이름은 풀이 방법을 서술한 3세기에 살았던 알렉산드리아의 수학자 디오판토스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페르마의 방정식 x^n+y^n=z^n은 디오판토스 방정식의 특수한 예이다.[192]

디오판토스 방정식의 예로 아래의 방정식을 들 수 있다.

:x + y = 4

:x^2 + y^2 = 10

위 두 방정식을 모두 만족하는 정수 ''x'' 와 ''y''를 구하는 것이 디오판토스 문제이다.[194]

디오판토스의 주요 저작 가운데 전해진 것으로는 《산법》(Arithmetica)이 유일하다.[195] 페르마는 《산법》을 읽다가 마지막 정리에 대해 착상하였다.[196] 페르마가 읽은 《산법》은 1621년 클라우드 가스파르 바세 드 메지리아가 새롭게 편찬한 것이었다.[197]

디오판토스 방정식은 수천년에 걸쳐 연구되어온 주제이다. 예를 들어 피타고라스 수를 찾는 방정식 x^2+y^2=z^2은 기원전 1800년 무렵 바빌로니아에서도 연구된 바 있다.[198] 1차 방정식으로 된 디오판토스 방정식, 예를 들어 26x+65y=13 과 같은 것의 해는 기원전 5세기 무렵 만들어진 유클리드 호제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199]

4. 타원 곡선과 모듈러성 정리

1984년 게르하르트 프라이는 모듈러성 정리가 증명되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역시 증명 가능하다는 것을 보였다.[215] 프라이는 페르마의 방정식에 해 (a, b, c)가 존재할 때, p>2 인 지수 p를 사용하여 이 해를 타원 곡선 방정식으로 변환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216]

이 타원 방정식은 모듈러 곡선으로 변환할 수 없는 비정상적인 형태를 띤다.[217] 다니야마 유타카시무라 고로는 모든 타원곡선은 적당한 형태의 모듈러 곡선으로 변환 가능하며, 그 역도 성립한다는 다니야마-시무라 추측을 발표했다.[218] 따라서 다니야마-시무라 추측이 참이라면, 페르마의 방정식을 변환한 타원 방정식도 모듈러 곡선으로 변환되어야 한다. 그러나 프라이가 제시한 타원 방정식은 모듈러 곡선으로 변환 불가능하므로, 이는 페르마의 방정식에 정수 해가 없음을 의미하며, 결국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참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217]

이 증명 방법은 두 단계의 세부 증명을 필요로 한다. 먼저, 프라이가 보인 것처럼 페르마의 방정식이 타원 방정식으로 변환 가능한지 증명해야 한다. 장피에르 세르는 프라이가 놓친 부분을 “엡실론 추측”(epsilon conjecture|엡실론 추측영어)으로 정리했고, 1986년 케네스 앨런 리벳이 이를 증명했다.[219] 다음으로, 모든 타원 방정식은 대응하는 특정 모듈러 곡선을 갖지만, 페르마 방정식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 앤드루 와일스는 1995년에 이 부분을 증명하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했다.

4. 1. 프라이의 아이디어

1984년 게르하르트 프라이는 페르마의 방정식에 해가 존재한다면, 그 해를 이용하여 특이한 타원 곡선을 만들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215] 프라이는 페르마의 방정식의 해 (a, b, c)p>2 인 지수 p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타원 곡선의 형태로 변환할 수 있음을 보였다.[216]

:y=x(x-a^p)(x+b^p)

이 타원 방정식은 모듈러 곡선으로 변환할 수 없는 비정상적인 형태를 가진다.[217] 1950년대 일본의 수학자 다니야마 유타카시무라 고로는 모든 타원곡선이 적당한 형태의 모듈러 곡선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그 역도 가능하다는 다니야마-시무라 추측을 발표했다.[218] 따라서, 이 추측이 참이라면 프라이가 제시한 타원 방정식 역시 모듈러 곡선으로 변환되어야 하는데, 이는 불가능하다.[217] 이는 페르마의 방정식에 정수 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결국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참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4. 2. 타니야마-시무라 추측 (모듈러성 정리)

1950년대 일본의 수학자 다니야마 유타카시무라 고로는 모든 타원곡선은 적당한 형태의 모듈러 곡선으로 변환되며 그 역 역시 가능하다는 추측을 제시하였다.[218] 이 추측은 '''타니야마-시무라 추측'''으로 불리며, 당시에는 주목받지 못했지만, 훗날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1954년, 아이힐러는 어떤 보형 형식(保型形式)에 관한 라마누잔 추측의 일부를 증명했다. 여기에서는 "해석적 제타 = 대수적 제타"가 제시되어 타니야마-시무라 추측의 최초의 예라고 할 수 있다.

이 라마누잔 추측 → '''타니야마-시무라 추측''' → 랭글랜즈 추측 → 초랭글랜즈 추측으로 이어지는 흐름(제타의 통일)은 정수론의 중심적인 주제 중 하나가 되고 있다.

4. 3. 엡실론 추측 (리벳의 정리)

장피에르 세르는 게르하르트 프라이가 놓친 부분을 “엡실론 추측”(epsilon conjecture|엡실론 추측영어)이라는 이름으로 정리하였고, 1986년 케네스 앨런 리벳이 이를 증명함으로써 프라이의 아이디어가 타당함을 보였다.[219]

5. 와일스의 증명

1984년 게르하르트 프라이는 모듈러성 정리를 증명하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역시 증명 가능하다는 것을 설명하였다.[215] 프라이는 페르마의 방정식의 해 (a, b, c) (p>2 인 지수 p를 사용)를 타원 곡선의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216]

:y=x(x-a^p)(x+b^p)

이 타원 방정식은 모듈러 곡선으로 변환할 수 없는 비정상적인 모습이었다.[217] 1950년대 일본의 다니야마 유타카시무라 고로는 모든 타원곡선은 적당한 형태의 모듈러 곡선으로 변환되며 그 역 역시 가능하다는 다니야마-시무라 추측을 발표하였다.[218] 따라서, 다니야마-시무라 추론이 참이라면, 페르마의 방정식을 변환한 타원 방정식 역시 모듈러 곡선으로 변환되어야 하는데,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페르마의 방정식에 정수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므로 페르마의 정리가 참이라는 결론을 얻게 된다.[217]

장피에르 세르는 프라이가 놓친 부분을 “엡실론 추측”(epsilon conjecture영어)이라는 이름으로 정리하였고, 1986년 케네스 앨런 리벳이 세르의 엡실론 추측을 증명하였다.[219] 1995년 앤드루 와일스리처드 로런스 테일러의 도움을 받아 모듈러성 정리가 참이라는 것을 증명하고, 이를 통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였다.

5. 1. 증명의 개요

앤드루 와일스모듈러성 정리(당시에는 타니야마-시무라 추론)를 증명하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220] 와일스는 6년 동안 비밀리에 연구를 진행하였고,[221] 1993년에 프린스턴 대학교 동료인 닉 카츠에게 자신의 연구 결과 검증을 부탁하였다.[222]

1993년 중반, 와일스는 자신의 연구 결과에 확신을 가지고 아이작 뉴턴 수리과학 협회에서 발표하였다.[223] 와일스는 타원곡선에 대한 타니야마-시무라 추론의 증명과 타원함수 추론에 대한 리벳의 증명을 결합하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였다. 그러나 검증 과정에서 오류가 발견되었고,[224] 이 오류를 발견한 사람 중에는 와일스의 증명을 도왔던 카츠도 있었다.[225]

와일스와 그의 제자 리처드 로런스 테일러는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실패하였다.[226] 1994년 9월 19일, 와일스는 이와사와 이론과[227] 헤케 대수학의 환론적 속성을 떠올려[228] 테일러와 함께 증명을 완성하였다. 1995년 5월, 와일스는 두 편의 논문을 발표하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였다.

5. 2. 증명의 과정

앤드루 와일스


1986년 리벳엡실론 추측을 증명하면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기 위한 프라이 방법의 첫 단계가 해결되었다. 앤드루 와일스는 프라이 방법의 두 번째 단계인 타니야마-시무라 추론(와일스의 증명 이후, 모듈러성 정리로 불린다)을 홀로 증명하기로 결심하였다.[220] 와일스는 6년 동안 비밀리에 연구를 계속하였다.[221] 와일스는 빅토르 콜리바긴(Викто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олывагинru)과 마티아스 플라흐가 발전시킨 오일러 계를 확장하였다. 와일스는 이 방식에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1993년 프린스턴 대학교 동료인 닉 카츠에게 자신의 연구 결과 검증을 부탁하였다.[222]

1993년 중반 무렵, 와일스는 자신의 결과에 대해서 충분히 확신할 수 있었다. 와일스는 6월 21일에서 6월 23일까지 아이작 뉴턴 수리과학 협회에서 3번의 강의를 통해 자신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223] 와일스는 특히 불완전한 타원곡선에 대한 타니야마-시무라 추론의 증명을 제시하면서, 타원함수 추론에 대한 리벳의 증명을 함께 도입해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였다. 그러나 와일스의 이러한 증명을 검증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견되었다.[224] 오류를 발견한 사람 가운데에는 와일스의 증명에 도움을 준 카츠도 있었다고 한다.[225]

와일스와 그의 제자였던 리처드 로런스 테일러는 1년 가까이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 노력하였으나 실패하였다.[226] 그러던 1994년 9월 19일 와일스는 예전에 콜리바긴-플라흐 방법을 도입하면서 포기하였던 자신의 수평 이와사와 이론 접근법과[227] 헤케 대수학의 환론적 속성을 떠올렸고,[228] 다시 테일러와 함께 증명을 완성하였다. 와일스는 1995년 5월에 두 편의 논문을 발표해서 358년 된 수학 난제인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완벽하게 증명하였다.

6. 증명 이후

1984년, 게르하르트 프라이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와 모듈러성 정리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했다.[114][115][116] 프라이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반증하는 네 수의 집합 (''a'', ''b'', ''c'', ''n'')을 사용하여 모듈러성 정리도 반증할 수 있음을 보였다. 대우법에 의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반증은 모듈러성 정리를 반박하게 된다.

이러한 전략에 따라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에는 두 가지 단계가 필요했다. 첫째, 모듈러성 정리를 증명하거나, 적어도 프레이 곡선을 포함하는 준안정 타원 곡선에 대해 증명해야 했다. 이는 당대 수학자들에게 증명이 불가능하다고 널리 여겨졌다.[113] 둘째, 프라이의 직관이 맞다는 것을 보여야 했다. 프라이는 이것이 그럴듯하다는 것을 보였지만 완전한 증명을 제시하지는 못했다. 빠진 부분은 장-피에르 세르가 확인했으며, 켄 리베가 1986년에 리베의 정리를 증명하였다.[117]

프라이, 세르, 리베의 연구에 따라, 모듈러성 정리 증명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참임을 자동적으로 증명하게 되었다.

6. 1. 수학적 영향

와일즈의 증명은 정수론과 대수기하학 등 여러 수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모듈러성 정리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방법들은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 변형 환과 헤케 대수의 동일성을 증명하는 방법은 현재 ''R=T 정리''로 알려져 있으며, 모듈러 리프팅 정리를 증명하는 데 중요한 발전으로 평가받는다.[130] 이는 대수적 정수론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6. 2. 대중적 관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은 대중적으로도 큰 관심을 받았다. 여러 책과 다큐멘터리에서 소개되었다.[157]

  • 1989년 5월에 방영된 《스타 트렉: 넥스트 제네레이션》의 12번째 에피소드 〈더 로얄〉에서는 드라마의 배경이 되는 2360년대에도 여전히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 묘사된다.[240]
  • 미국 PBS의 장수 과학 다큐멘터리 노바는 앤드루 와일스의 증명을 소개한 적이 있다.
  • 아서 포지의 1954년 단편 소설 "악마와 사이먼 플래그"에는 24시간 안에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을 만들 수 없다는 것을 악마와 거래하는 수학자가 등장한다.[158]
  • 심슨 가족》 에피소드 "에버그린 테라스의 마법사"에서 호머 심슨은 칠판에 398712 + 436512 = 447212라는 방정식을 적는데, 이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 대한 반례인 것처럼 보인다. 이 방정식은 틀렸지만, 10개의 유효숫자를 가진 계산기에 입력하면 맞는 것처럼 보인다.[159]
  • 《스타 트렉: 차세대》 에피소드 "로열"에서 피카르 함장은 24세기에도 이 정리가 여전히 증명되지 않았다고 말한다. 이 증명은 해당 에피소드가 처음 방영된 지 5년 후에 발표되었다.[160]


와일즈의 증명을 기념하는 체코 우표

7. 포상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는 1816년과 1850년에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일반적인 증명에 대해 포상금을 내걸었다.[232] 1857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는 쿠머의 아이디얼 이론에 대해 금메달과 함께 3000FRF을 수여하였다.[233] 브뤼셀 과학 아카데미에서도 1883년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는 사람에게 포상금을 주겠다고 발표하였다.[234]

1908년 독일의 기업가이자 아마추어 수학자였던 파울 볼프스켈은 100000DEM를 괴팅겐 과학 아카데미에 기탁하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는 사람에게 수여하도록 하였다.[235] 1908년 6월 27일, 괴팅겐 과학 아카데미는 증명의 검증과 상금 수여에 대한 9가지 기준을 발표하였다. 주요 기준은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만을 심사 대상으로 한다는 것과 상금 지급 대상은 2007년 9월 13일까지로 한다는 것 등이었다.[236] 1997년 6월 27일 앤드루 와일스는 볼프스켈상을 수상하고, 50000USD를 받았다.[237]

볼프스켈상 심사 위원회에는 와일스 이전에 이미 수천 건의 잘못된 증명이 접수되어 있었는데, 이렇게 모인 증명의 양은 높이가 약 3미터에 달했다.[238] 볼프스켈상이 시작된 1908년에만 621건이 접수되었고, 1970년대에도 매달 3~4건의 증명이 접수되었다.[239] 수학사 연구자인 하워드 이브스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가장 많은 잘못된 증명들이 발표된 정리이기도 하다"고 언급하였다.[234]

참조

[1] 서적 undefined
[2] 웹사이트 Abel prize 2016 – full citation https://web.archive.[...] 2016-03-16
[3] 서적 The Guinness Book of World Records https://archive.org/[...] Guinness Publishing Ltd.
[4] 웹사이트 The Proof of Fermat's Last Theorem https://www.math.wis[...]
[5] 문서 undefined
[6] 서적 undefined
[7] 서적 undefined
[8] 서적 undefined
[9] 서적 undefined
[10] 논문 On Deformation Rings and Hecke Rings https://www.jstor.or[...] 1996-07-01
[11] 논문 Modularity of certain potentially Barsotti-Tate Galois representations https://www.ams.org/[...] 1999-01-01
[12] 논문 On the modularity of elliptic curves over '''Q''': Wild 3-adic exercises https://www.ams.org/[...] 2001-05-15
[13] 논문 Fermat's last theorem earns Andrew Wiles the Abel Prize 2016-03-15
[14] 뉴스 British mathematician Sir Andrew Wiles gets Abel math prize https://web.archive.[...] The Washington Post
[15] 뉴스 300-year-old math question solved, professor wins $700k http://www.cnn.com/2[...] CNN.com
[16] 웹사이트 Fermat's Last Theorem https://mathworld.wo[...] 2021-05-07
[17] 논문 Modular elliptic curves and Fermat's Last Theorem https://web.archive.[...] 2003-08-11
[18] 논문 On modular representations of Gal({{overline|'''Q'''}}/'''Q''') arising from modular forms http://math.berkeley[...]
[19] 서적 Elements of Number Theory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2016-03-17
[20] 서적 undefined
[21] 서적 undefined
[22] 문서 undefined
[23] 서적 undefined
[24] 서적 Diophantus of Alexandr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서적 undefined
[26] 서적 undefined
[27] 서적 undefined
[28] 서적 undefined
[29] 서적 Number Theory: An approach through history. From Hammurapi to Legendre Birkhäuser
[30] 비디오 BBC Documentary https://www.youtube.[...]
[31] 웹사이트 Fermat's One Proof http://fermatslastth[...] 2005-05-12
[32] 서적 undefined
[33] 서적 Traité des Triangles Rectangles en Nombres
[34] 논문 Theorematum quorundam arithmeticorum demonstrationes
[35] 서적 An Elementary Investigation of Theory of Numbers J. Johnson
[36] 서적 Einige Sätze aus der unbestimmten Analytik Programm
[37] 학술지 Théorèmes sur les puissances des nombres
[38] 서적 Traité Élémentaire d'Algèbre Hachette
[39] 학술지 Résolution des équations biquadratiques ''z''2 = ''x''4 ± 2''m''''y''4, ''z''2 = 2''m''''x''4 − ''y''4, 2''m''''z''2 = ''x''4 ± ''y''4
[39] 서적 Exercices d'Analyse Numérique Leiber et Faraguet
[39] 서적 Introduction à la Théorie des Nombres Mallet-Bachelier
[40] 학술지 Étude sur l'équation indéterminée ''ax''4 + ''by''4 = ''cz''2
[41] 학술지 Sobre la ecuación ''x''4 + ''y''4 = ''z''4 https://anales.uchil[...]
[42] 학술지 Die Theorie der algebraischen Zahlkörper
[43] 논문 Öfver diophantiska ekvationen {{nowrap|1=xn + yn = zn}} Almqvist & Wiksells Boktrycken
[44] 서적 Vorlesungen über Zahlentheorie, vol. I Teubner
[45] 학술지 Nyt Bevis for at Ligningen {{nowrap|1=''x''4 − ''y''4 = ''z''4}}, ikke kan have rationale Løsinger
[46] 서적 Vorlesungen über Zahlentheorie Teubner
[47] 학술지 Soluzione intere dell'equazione pitagorica e applicazione alla dimostrazione di alcune teoremi della teoria dei numeri
[48] 학술지 Den ubestemte Ligning ''x''4 + ''y''4 = ''z''4
[49] 학술지 On the impossibility of certain Diophantine equations and systems of equations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50] 서적 Foundations of the Theory of Algebraic Numbers, vol. I Macmillan
[51] 학술지 Asupra teorema lui Fermat pentru {{nowrap|1=''n'' = 4}}
[52] 학술지 Descending to the irrational
[53] 학술지 Fermat's last theorem in the case {{nowrap|1=''n'' = 4}}
[54] 학술지 Fermat's method of ''descente infinie''
[55] 서적 Ribenboim
[56] 웹사이트 Abu Mahmud Hamid ibn al-Khidr Al-Khujandi
[57] 서적 Vollständige Anleitung zur Algebra Roy. Acad. Sci.
[58] 웹사이트 Fermat's Last Theorem: Proof for ''n'' = 3 http://fermatslastth[...] 2005-05-22
[59] 서적 Ribenboim
[60] 학술지 On Euler's hypothetical proof
[61] 서적 Ribenboim
[62] 학술지 Nova demonstratio theorematis nec summam, nec differentiam duorum cuborum cubum esse posse
[63] 서적 Théorie des Nombres (Volume II) Firmin Didot Frères
[64] 학술지 Recherches sur quelques objets d'analyse indéterminée, et particulièrement sur le théorème de Fermat
[65] 서적 Tentativo per dimostrare il teorema di Fermat sull'equazione indeterminata xn + yn = zn Ferrara
[66] 학술지 Étude des binômes cubiques ''x''3 ± ''y''3
[67] 학술지 Mathematical Notes https://zenodo.org/r[...]
[68] 학술지 Ueber die unbestimmte Gleichung {{math|1=''x''''3'' + ''y''''3'' = ''a''''3''}} https://www.biodiver[...]
[69] 학술지 Memoria bibliographica sull'ultimo teorema di Fermat
[70] 학술지 Neuer Beweis eines arithmetischen Satzes https://books.google[...]
[71] 논문 On Fermat's last theorem for n = 4 and n = 3 (in Bohemian)
[72] 서적 Beitrag zum Beweis des Fermatschen Satzes Brandstetter
[73] 서적 Diophantine Analysis Wiley
[74] 논문 Quelques formes quadratiques et quelques équations indéterminées
[75] 논문 Et bevis for at ligningen {{math|1=''A''3 + ''B''3 = ''C''3}} er unmulig i hele tal fra nul forskjellige tal ''A'', ''B'' og ''C'' https://books.google[...]
[76] 논문 Sobre la ecuación ''x''3 + ''y''3 + ''z''3 = 0
[77] 웹사이트 Fermat's Last Theorem: Proof for n = 5 http://fermatslastth[...] 2005-10-28
[78] 서적 Ribenboim
[79] 서적 Singh
[80] 서적 Ribenboim
[81] 서적 Zur Theorie der complexen Zahlen, Werke, vol. II Königl. Ges. Wiss. Göttingen
[82] 논문 Théorèmes nouveaux sur l'équation indéterminée ''x''5 + ''y''5 = ''az''5
[83] 논문 Mémoire sur la résolution en nombres complexes de l'équation ''A''5 + ''B''5 + ''C''5 = 0
[84] 논문 Intorno all'ultimo teorema di Fermat 1903-1904
[85] 논문 On the equation ''x''5 + ''y''5 = ''Az''5 (in Russian)
[86] 논문 On Fermat's last theorem for n = 5 (in Bohemian)
[87] 논문 Sur une question de V. A. Lebesgue
[88] 서적 Ribenboim
[89] 논문 Mémoire sur le dernier théorème de Fermat
[89] 논문 Mémoire d'analyse indéterminée démontrant que l'équation ''x''7 + ''y''7 = ''z''7 est impossible en nombres entiers
[90] 논문 Démonstration de l'impossibilité de résoudre l'équation ''x''7 + ''y''7 + ''z''7 = 0 en nombres entiers
[91] 웹사이트 Fermat's Last Theorem: Proof for n = 7 http://fermatslastth[...] 2006-01-18
[92] 논문 Intorno all'equazioni ''x''7 + ''y''7 + ''z''7 = 0 https://zenodo.org/r[...]
[92] 논문 Sur l'impossibilité de quelques égalités doubles
[92] 논문 Généralisation du théorème de Lamé sur l'impossibilité de l'équation ''x''7 + ''y''7 + ''z''7 = 0
[93] 논문 Impossibilité de l'équation ''x''7 + ''y''7 + ''z''7 = 0
[94] 논문 Sur l'équation indéterminée ''ax''''λ''''t'' + ''by''''λ''''t'' = ''cz''''λ''''t'' http://gallica.bnf.f[...]
[95] 논문 Über die Auflösbarkeit einiger unbestimmter Gleichungen
[96] 논문 La ecuación ''x''3 + ''y''3 = ''z''2: Una demonstración nueva del teorema de fermat para el caso de las sestas potencias
[97] 논문 Einige zahlentheoretische Sätze
[98] 논문 Beweis des Fermatschen Satzes für die Exponenten 6 und 10
[99] 논문 Solution to Problem 206
[100] 논문 A simple proof of Fermat's last theorem for n = 6, n = 10
[101] 논문 Démonstration du théorème de Fermat pour le cas des 14e puissances
[102] 논문 L'équation ''x''14 + ''y''14 = ''z''14 en nombres entiers
[103] 서적 13 Lectures on Fermat's Last Theorem Springer Verlag
[104] 서적 Singh
[105] 웹사이트 Voici ce que j'ai trouvé: Sophie Germain's grand plan to prove Fermat's Last Theorem http://www.math.nmsu[...] 2009-05-19
[106] 논문 Sur l'équation ''x''2''p'' + ''y''2''p'' = ''z''2''p''
[107] 논문 The first case of Fermat's last theorem Springer 1985-06-00
[108] 서적 Singh
[109] 논문 Endlichkeitssätze für abelsche Varietäten über Zahlkörpern
[110] 서적 13 Lectures on Fermat's Last Theorem Springer Verlag
[111] 논문 The irregular primes to 125000 https://www.ams.org/[...]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12-10-24
[112] 논문 Irregular primes and cyclotomic invariants to four million https://www.ams.org/[...]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13] 서적 Fermat's Last Theorem
[114] 서적 Invitation to the Mathematics of Fermat-Wiles Academic Press
[115] 논문 Links between stable elliptic curves and certain diophantine equations
[116] 서적 Singh
[117] 논문 On modular representations of Gal({{overline|'''Q'''}}/'''Q''') arising from modular forms http://math.berkeley[...]
[118] 서적 Singh
[119] 서적 Singh
[120] 서적 Singh
[121] 서적 Singh
[122] 서적 Singh
[123] 서적 Singh
[124] 뉴스 A Year Later, Snag Persists In Math Proof https://www.nytimes.[...] 1994-06-28
[125] 뉴스 26 June – 2 July; A Year Later Fermat's Puzzle Is Still Not Quite Q.E.D. https://www.nytimes.[...] 1994-07-03
[126] 서적 Singh
[127] 서적 Singh
[128] 논문 Modular elliptic curves and Fermat's Last Theorem http://math.stanford[...] 2003-06-28
[129] 웹사이트 Modular elliptic curves and Fermat's Last Theorem http://scienzamedia.[...]
[130] 논문 Ring theoretic properties of certain Hecke algebras http://www.math.harv[...] 2001-11-27
[131] 서적 The Princeton Companion to Mathematic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2] 웹사이트 Mauldin / Tijdeman-Zagier Conjecture http://www.primepuzz[...] Prime Puzzles 2016-10-01
[133] 논문 The ABC's of Number Theory http://dash.harvard.[...]
[134] 논문 Open Diophantine Problems
[135] 서적 Prime Numbers: A Computational Perspective Springer
[136] 웹사이트 Beal Conjecture https://www.ams.org/[...]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16-08-21
[137] 논문 A new generalization of Fermat's Last Theorem
[138] 논문 A Cyclotomic Investigation of the Catalan–Fermat Conjecture
[139] 논문 On the inverse Fermat equation
[140] 논문 A radical diophantine equation
[141] 논문 Fermat's last theorem for rational exponents
[142] 논문 Integer solutions of ''a''−2 + ''b''−2 = ''d''−2 1999-07-01
[143] 논문 The upside-down Pythagorean Theorem 2008-07-01
[144] 서적 Algebra Springer-Verlag New York
[145] 논문 ABC implies Mordell
[146] 논문 Nouvelles approches du "théorème" de Fermat http://www.numdam.or[...]
[147] 논문 It's As Easy As abc https://www.ams.org/[...]
[148] 문서
[149] 서적 Elementary number theory with applications Academic Press
[150] 문서
[151] 문서
[152] 문서
[153] 웹사이트 The Abel Prize citation 2016 http://www.abelprize[...] The Abel Prize Committee 2016-03-01
[154] 문서
[155] 서적 Wheels, Life and Other Mathematical Amusements https://books.google[...]
[156] 문서
[157] 웹사이트 Geek Trivia: The math behind the myth https://www.techrepu[...] 2006-02-21
[158] 논문 Mathematics in Fiction: An Interdisciplinary Course 2003-01-01
[159] 서적 The Simpsons and Their Mathematical Secrets https://books.google[...] A&C Black
[160] 웹사이트 Here's a Fun Math Goof in 'Star Trek: The Next Generation' https://www.popularm[...] 2017-09-01
[161] 간행물 Newton 2019-02-01
[162] 서적
[163] 서적
[164] 서적
[165] 문서 定理の証明がなされた1995年よりも前からこの予想を「定理」と呼んでいたことには無理があるが、反例も挙げられておらず、予想自体は「真であろう」と誰もが予測したため、「定理」と呼ばれるようになった。
[166] 서적
[167] 서적
[168] 서적
[169] 서적
[170] 서적
[171] 서적
[172] 서적
[173] 서적
[174] 서적
[175] 서적
[176] 서적
[177] 서적
[178] 서적
[179] 서적
[180] 서적
[181] 서적
[182] 서적
[183] 서적
[184] 뉴스 1995년 2월의 毎日新聞 축소판보다
[185] 서적 Newton別冊 数学の世界[増補第3版] ニュートンプレス 2019-11-05
[186] TV 신 스타트렉
[187] 보고서 Explicit Estimates in Inter-universal Teichm¨uller Theory http://www.kurims.ky[...] 京都大学数理解析研究所 2020-12-05
[188] 서적 The Simpsons and Their Mathematical Secrets https://books.google[...] A&C Black
[189] 서적 Diophantus' work with additions by Pierre de Fermat 1670
[190] 서적
[191] 서적 Elements of Number Theory http://books.google.[...] Springer-Verlag
[192] 서적
[193] 서적
[194] 문서 이 문제의 경우 답은 1 과 3 이 된다.
[195] 서적
[196] 서적
[197] 서적
[198] 서적
[199] 서적
[200] 웹인용 Fermat's One Proof http://fermatslastth[...] 2009-05-23
[201] 저널 Descending to the irrational https://archive.org/[...] 1999-07
[202] 저널 Fermat's last theorem in the case n=4 https://archive.org/[...] 2007-07
[203] 저널 Fermat's method of ''descente infinie'' https://archive.org/[...] 2011-07
[204] 웹인용 Voici ce que j'ai trouvé: Sophie Germain's grand plan to prove Fermat's Last Theorem http://www.math.nmsu[...] 2009-05-19
[205] 서적
[206] 저널 Sur l'équation ''x''2''p'' + ''y''2''p'' = ''z''2''p''
[207] 저널 The first case of Fermat's last theorem Springer
[208] 서적 월경하는 지식의 모험자들 한길사
[209] 웹사이트 Kummer Theory https://wstein.org/e[...]
[210] 서적
[211] 저널 Endlichkeitssätze für abelsche Varietäten über Zahlkörpern
[212] 서적 13 Lectures on Fermat's Last Theorem Springer Verlag
[213] 저널 The irregular primes to 125000 http://www.ams.org/j[...]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14] 저널 Irregular primes and cyclotomic invariants to four million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15] 문서 Singh, pp. 194–198; Aczel, pp. 109–114.
[216] 서적 Invitation to the Mathematics of Fermat-Wiles Academic Press
[217] 저널 Links between stable elliptic curves and certain diophantine equations
[218] 웹사이트 Shimura–Taniyama conjecture http://www.encyclope[...]
[219] 웹사이트 리벳의 논문 목록 http://math.berkeley[...]
[220] 문서 Singh, p. 205; Aczel, pp. 117–118.
[221] 문서 Singh, pp. 237–238; Aczel, pp. 121–122.
[222] 문서 Singh, pp. 239–243; Aczel, pp. 122–125.
[223] 문서 Singh, pp. 244–253; Aczel, pp. 1–4, 126–128.
[224] 문서 Aczel, pp. 128–130.
[225] 문서 Singh, p. 257.
[226] 문서 Singh, pp. 269–274.
[227] 문서 Singh, pp. 275–277; Aczel, pp. 132–134.
[228] 저널 Ring theoretic properties of certain Hecke algebras http://www.math.harv[...] Annals of Mathematics 2013-01-08
[229] 문서 Hendrik Lenstra|Lenstra, Jr. H.W. (1992)
[230] 서적 수학을 만든 사람들 미래사
[231] 저널 Number theory and elementary arithmetic http://citeseerx.ist[...]
[232] 문서 Aczel, p. 69; Singh, p. 105.
[233] 문서 Aczel, p. 69.
[234] 서적 Elementary number theory with applications Academic Press
[235] 문서 Singh, pp. 120–125, 131–133, 295–296; Aczel, p. 70.
[236] 문서 Singh, pp. 120–125.
[237] 문서 Singh, p. 284
[238] 문서 Singh, p. 295.
[239] 문서 Singh, pp. 295–296.
[240] 웹사이트 The Royale (episode) http://memory-alph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